목록전체 글 (222)
NIRVANA

문제 프로그래머스 모바일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고지서를 보낼 때 고객들의 전화번호의 일부를 가립니다. 전화번호가 문자열 phone_number로 주어졌을 때, 전화번호의 뒷 4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전부 *으로 가린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. 문제 풀이 접근법1 1) phone_num을 str형에서 list로 변환한다. 2) for문을 전화번호의 앞 7자리 만큼, 즉 7번 반복하여 앞 자리 7개의 원소를 *로 바꾼다. 3) 다시 phone_num을 list에서 str형으로 변환한다. def solution(phone_number): answer = '' phone =[] phone = list(str(phone_number)) for i in range(len(pho..

문제 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.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문제 풀이 접근법1 1) 반복문을 돌면서 absolutes의 원소 중 signs이 false인 수를 음수로 바꾸어준다. 2) sum함수로 absolutes의 각 원소를 더한 뒤 값을 반환한다. def solution(absolutes, signs): answer = 123456789 for i in range(len(absolutes)): if signs[i] == False: absolutes[i] = 0 - absolutes[i] answer..

문제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.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-1을 담아 반환하세요. 문제 풀이 접근법1 1) 리스트의 원소와 divisor를 나누어서 떨어진다면 answer에 해당 원소를 추가한다 2) 만약 answer의 길이가 0이라면 -1을 추가한다 3) sort()를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을 정렬한다 def solution(arr, divisor): answer = [] for i in arr: if i % divisor == 0: answer.append(i) if len(answer)

문제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"Kim"의 위치 x를 찾아, "김서방은 x에 있다"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하세요. seoul에 "Kim"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. 문제 풀이 접근법1 1) 문자열 리스트 중 'Kim'이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의 위치를 반복문을 통해 찾는다 2) 찾은 위치를 변수에 저장한 뒤, 출력한다 def solution(seoul): answer = '' find = 0 for i in range(len(seoul)): if seoul[i] == 'Kim': find = i answer = '김서방은 {}에 있다'.format(find) return answer 다른 분들 풀이 def find..

문제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, 주어진 수가 1이 될 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,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.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. 1-1.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. 1-2.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. 2.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. 예를 들어, 주어진 수가 6이라면 6 → 3 → 10 → 5 → 16 → 8 → 4 → 2 → 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.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하는지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. 단, 주어진 수가 1인 경우에는 0을, 작업을 500번 반복할 때까지 1이 되지 않는다면 –1을 반환해 주세요. 문제 풀이 접근법1 ..

문제 두 정수 a,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하세요. 예를 들어 a = 3, b = 5인 경우, 3 + 4 + 5 =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. 문제 풀이 접근법1 1) 정수 a, b를 비교하여 둘 중 작은 것을 반복문의 시작값으로, 큰 것을 끝값으로 둔다 2) 반복문을 진행하면서 answer 두 수 사이의 값을 더한다 def solution(a, b): answer = 0 if a > b: for i in range(b, a+1): answer = answer + i else: for i in range(a, b+1): answer = answer + i return answer 다른 분들 풀이 def adder(a, b): if..